핵심 요약
인천공항은 스마트패스(얼굴인식), 인천, 김해, 제주공항은 바이오등록(손바닥 정맥)가 기본 전략!
아래 비교표·체크리스트로 나에게 맞는 빠른 수속을 3분 만에 세팅하세요.
아래 비교표·체크리스트로 나에게 맞는 빠른 수속을 3분 만에 세팅하세요.
보안검색 줄에서 20~40분씩 지체되면 면세·라운지·식사까지 일정이 흔들립니다. 2025년 기준, 한국 주요 공항은 두 가지 빠른 수속을 운영합니다. 인천공항의 스마트패스(얼굴 인식), 김포·김해·제주 등 국내선 중심의 바이오등록(손바닥 정맥)입니다. 이 글에서는 공식 가이드 기반으로 등록 방법 · 적용 공항 · 유효기간 ·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인천공항 스마트패스
스마트패스는 인천국제공항 국제선에서 운영되는 얼굴인식 기반 원아이디(One-ID) 서비스입니다. 사전 등록 시, 탑승수속·보안검색·탑승구 등에서 여권·탑승권 제시 없이 얼굴만으로 통과할 수 있습니다.
스마트패스 앱 등록(권장)
- 스마트패스 앱 설치(구글플레이/앱스토어)
- 여권 스캔으로 여권정보 자동 인식
- 셀카 촬영으로 얼굴 데이터 등록
- 탑승권(바코드/QR) 등록 후 이용
* 인천공항 셀프체크인 키오스크에서도 ‘안면등록하기’ → 여권 스캔 → 얼굴 등록 → 탑승권 등록 순으로 진행 가능
이용 범위 & 유효기간
- 터미널 보안검색·탑승 게이트 등 국제선 절차에 적용
- 등록 유효기간: 최장 5년(여권 변경 시 재등록 필요)
- 이용 대상: 만 14세 이상 내국인 및 국내 거주 외국인(공식 안내 기준)
주의
· 스마트패스는 보안검색 자체를 생략하는 서비스가 아닙니다. 수하물 검사 혼잡에 따라 체감 시간이 달라질 수 있어요.
· 첫 이용 전, ‘인천공항 출국장 혼잡도’를 확인하고 대기가 덜한 출국장을 선택하세요.
· 스마트패스는 보안검색 자체를 생략하는 서비스가 아닙니다. 수하물 검사 혼잡에 따라 체감 시간이 달라질 수 있어요.
· 첫 이용 전, ‘인천공항 출국장 혼잡도’를 확인하고 대기가 덜한 출국장을 선택하세요.

김포공항 바이오등록
바이오정보 수속간소화 시스템은 보안검색 및 탑승 수속에서 손바닥 정맥으로 본인 확인을 대체하는 제도입니다. 김포·김해·제주 등 국내선이 많은 공항 중심으로 운영되며, 셀프등록기 또는 지정 창구에서 간단히 등록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물론 국제선도 가능합니다.
구분 | 내용(2025 최신) |
---|---|
적용 공항 | 김포·김해·제주 등 국내선 위주(공항별 운영 범위 상이) |
인증 방식 | 손바닥 정맥 인식(바이오정보 수속간소화) |
등록 장소 | 김포공항 국내선 출발장(3층) 게이트 바로 우측 셀프등록기, 국제선 출발장(2층) 셀프등록기 |
준비물(성인) | 주민등록증·운전면허증·여권 중 택1 |
준비물(미성년) |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, 건강보험증 등(공항·창구 안내에 따름) |
절차 | 신분확인 → 동의서 작성(현장·연계앱) → 손바닥 정맥 등록 → 즉시 이용 |
이용 대상/제한 | 일반적으로 만 14세 이상 권장(공항별 유인등록/보호자 동반 안내 상이) |
※ 김포공항 공식 페이지 ‘빠른수속 > 바이오정보 수속간소화 시스템’ 기준.
현장 팁
· 피크타임(주말·연휴·출근시간대) 전에 사전 등록을 완료해두면 대기 효율 ↑
· 일부 금융기관·모바일 앱 연계로 동의서 작성이 사전 가능합니다.
· 피크타임(주말·연휴·출근시간대) 전에 사전 등록을 완료해두면 대기 효율 ↑
· 일부 금융기관·모바일 앱 연계로 동의서 작성이 사전 가능합니다.


스마트패스 vs 바이오등록: 한눈에 보는 비교표
항목 | 김포공항 바이오등록(국내선) | 인천공항 스마트패스(국제선) |
---|---|---|
적용 공항/노선 | 김포·김해·제주 등 국내선 위주 | 인천국제공항 국제선 |
인증 방식 | 손바닥 정맥(바이오정보 수속간소화) | 얼굴 인식(스마트패스) |
등록 위치/방법 | 보안검색장 인근 셀프등록기/창구 + 동의서 | 또는 셀프체크인 키오스크 |
필요 서류 | 성인: 신분증(주민등록증/운전면허증/여권) 미성년: 등본/가족관계증명·건보증 등 |
여권 + 얼굴 촬영 + 탑승권(전자 포함) |
유효기간 | 공식 고지 범위 내 지속 이용(재동의/재등록 가능) | 최장 5년(여권 변경 시 재등록) |
강점 | 국내선 대기시간 절약, 신분증 제시 최소화 | 여권·탑승권 제시 없이 얼굴만으로 절차 진행 |
유의사항 | 공항별 운영범위·대상·위치 상이 | 보안검색 혼잡 시 체감효과 제한 |
3분 셋업 체크리스트
- 여행 노선 확인: 국내선이면 바이오등록, 국제선이면 스마트패스 우선.
- 사전 등록: 바이오등록은 신분증 및 동의서 준비 / 스마트패스는 앱에서 여권·얼굴·탑승권 등록.
- 현장 전략: 출국장 혼잡도 확인 → 대기가 짧은 출입구 선택 → 수하물 규정 준수로 재검색 방지.
2025 최신 업데이트 & 참고
- 인천공항: 앱·키오스크 모두에서 스마트패스 ID 등록 가능(여권 스캔 → 얼굴 등록 → 탑승권 연동).
- 김포공항: ‘빠른수속’ 메뉴에서 바이오정보 수속간소화 시스템, 동의서(현장·연계앱) 작성 후 이용.
- 김해공항: 스마트공항 앱을 통한 사전 정보 등록 안내(여권정보/바이오 만료 갱신 등).
마무리: 내 여정에 맞는 ‘원아이디’로 시간을 번다
국내선은 바이오등록, 국제선은 스마트패스가 시간 대비 효율이 가장 좋습니다. 여행 전 3분만 투자하면, 보안검색과 탑승 동선에서 체감 차이가 큽니다. 아래 공식 가이드로 바로 확인하고, 이번 여행부터 줄 서는 시간을 줄이세요.
※ 공항별 운영·대상·위치·운영시간은 현장·공식 공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